본문 바로가기

2025년 의무 교육 법령, 대상, 시간, 과태료 총정리

by gahr.digger 2025. 2. 28.

 

공통 법정 의무 교육

모든 사업장에서 반드시 실시해야 하는 법정 의무 교육입니다. 업종별 특성별 의무 교육도 곧 추가 예정입니다.

1. 산업안전보건교육

구분 내용
법령근거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교육대상 전 사업장 근로자, 관리감독자
교육시간 정기교육: 사무직 반기마다 6시간 사무직 외 반기마다 12시간
채용 시 교육: 8시간
관리감독자: 연간 16시간
과태료 500만원 이하(교육 미실시 시)
비고 사업장 규모, 업종에 따라 교육시간 및 방법 차등 적용
전년도 무재해사업장 교육시간 절반 경감

2. 성희롱예방교육

구분 내용
법령근거 남녀고용평등법 제13조(직장 내 성희롱 예방 교육 등)
교육대상 전 사업장의 사업주 및 근로자
교육시간 연 1회, 1시간 이상
과태료 500만원 이하(교육 미실시 시)
비고 10인 미만 사업장은 교육자료 배포로 교육 대체 가능

3. 개인정보보호교육

구분 내용
법령근거 개인정보보호법 제28조(개인정보취급자에 대한 감독)
교육대상 개인정보취급자(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모든 임직원)
교육시간 연 1회 이상(시간 규정 없음)
과태료 규정 없음(미실시하고 개인정보 관련 사고 발생 시 가중처벌)

4. 직장내장애인인식개선교육

구분 내용
법령근거 장애인고용법 제5조의2(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교육대상 전 사업장의 사업주 및 근로자
교육시간 연 1회, 1시간 이상
과태료 300만원 이하(교육 미실시 시)
비고 50인 미만 사업장은 교육자료 배포 등으로 교육 대체 가능

5. 퇴직연금교육

구분 내용
법령근거 퇴직급여법 제32조(사용자의 책무)
교육대상 퇴직연금제도 가입 근로자
교육시간 연 1회 이상(시간 규정 없음)
과태료 1,000만원 이하(교육 미실시 시)
비고 퇴직연금사업자(은행)에게 교육 위탁 가능